외상성 뇌 손상
외상성 뇌 손상은 외상적 사고에 기인하며 객관적이고 신경학적 결과를 갖는 외부의 힘에 의한 뇌조직 손상입니다.
원인
외상성 뇌 손상의 원인은 성별과 나이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특히 젊은 사람들의 죽음과 장애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5세 이하의 어린이들은 넘어지거나, 사고, 어른들의 학대 또는 폭력에 의해 손상을 입기도 하고 5세에서 15세 사이의 아이들은 스케이트보드, 자전거와 같은 스포츠 활동 중에 손상을 입는 경우도 있습니다.
15세에서 40세 사이는 자동차 혹은 오토바이 사고에 의한 외상성 뇌 손상이 가장 일반적이고 노인에서는 넘어지거나 보행 중 교통사고로 인해 손상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외상성 뇌 손상의 분류
- 일차적 손상
- 국소 뇌 손상
외부적인 물체와 충돌하거나 낙상으로 인해 머리에 바로 타격을 입거나 무기로 인한 관통상, 머리뼈안의 뇌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나타납니다. 얼굴뼈나 머리뼈의 골절은 일어날 수도,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다중 병소와 확산성 뇌 손상
몸과 머리에 갑작스러운 감속으로 인해 뇌의 표면과 심부에 전해지는 다양한 힘에 의해 발생합니다. 확산성 뇌 손상은 빠른 감속에 의해 야기되는 대표적인 손상으로 자동차와 자전거에 의해 사고가 발생하거나,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것과 같은 사고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이차적 손상
이차적인 손상은 뇌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 붓거나 관류의 제한, 그리고 뇌조직에 산소를 전달하는 능력이 감소할 때 발생합니다. 회복은 초기 일차적 요인과 이차적인 손상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혼수상태와 의식 단계
외상성 뇌 손상은 전형적으로 의식 변화 단계를 가져오며, 의식의 연속체는 끝과 끝인 혼수상태와 의식 상태를 포함합니다.
의식은 환경적으로 깨어 있는 상태 혹은 자기 인식이 있는 상태를 말하며, 혼수상태는 최대의 외부 자극에도 불구하고 자기 인식이나 환경에 대한 인식이 없는 것을 말합니다.
의식 단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Glasgow Coma Scale (GCS)를 사용하며 눈뜨기, 운동 반응, 언어 반응으로 3가지 행동을 평가합니다.
Glasgow Coma Scale (GCS)
1 | 2 | 3 | 4 | 5 | 6 | |
눈 뜨기 |
전혀 눈을 뜨지 않음 |
통증에 의해 눈을 뜸 |
큰소리에 의해 눈을 뜸 |
자발적으로 눈을 뜸 |
||
운동 반응 | 운동반응 없음 | 이상신전반응 | 이상굴곡반응 | 회피굴곡반응 (정상 굴절반응) |
통증 발생 시 인식가능 |
명령에 따름 |
언어 반응 | 소리를 내지 못함 |
이해 불가능한 소리 | 부적절한 단어 | 혼돈스러운 대화 |
지남력 양호 |
증상
외상성 뇌 손상 환자들은 유형과 손상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뇌줄기와 비자율 운동 신호를 뇌간에서 사지로 전달하는 추체외로의 손상으로 인한 결과인 대뇌제거 강직과 대뇌겉질에서 나와 자발적 운동 신호를 모든 사지에 보내주는 겉질척수로 손상의 결과인 겉질제거 강직, 비정상적인 근긴장도, 정위반응 장애, 운동 실조, 근긴장도 이상으로 인한 자세 결손, 감각 장애, 삼킴곤란, 감소된 주의력 및 기억력, 실행 기능 장애, 우울증, 난독증, 실서증, 실어증과 같은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작업치료의 모든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동단위 질환 ; 길랑바레 증후군, 중증근무력증, 근 위축증 (0) | 2023.03.26 |
---|---|
아동에게서 나타나는 운동발달장애; 뇌성마비 (0) | 2023.03.22 |
아동 발달의 여러가지 발달 이론 (0) | 2023.03.19 |
아동의 쓰기 기술 발달 및 쓰기 능력의 문제 (0) | 2023.03.17 |
해부학적 구조 이상 및 임상질환과 관련된 소아 연하장애 (1) | 2023.03.14 |
댓글